이른바 2010년 LP형 컴퓨터 고사양게임을 겨냥한 저가격으로 업그래이드하는 방법
업그래이드를 해야하는데 고사양게임! 시원하게 즐기고 싶은데
돈은 별로 없고, 비싸서 엄두못내시는분들 그래서 고민하시는분들 없으십니까?
특히 저같은 LP형으로 쓰시는분들에게 겨냥하여 고사양게임을 위한 업그래이드.
결국 잡글입니다만, 제가 생각한것을 끄적여봅니다.
여기서 (업그래이드를 목적으로 한것으로 HDD, ODD, 경우 대부분 기존거 쓰시면 되기때문에 이부분은 제외합니다.)
< 게임을 위한 저가의 업그래이드 항목 > - 현재 시세 가격 - DANAWA.COM 기준
선택.1 ☞ cpu : 인텔 코어 i5 661 (클락데일) 정품 240,000원
선택.2 ☞ cpu : 인텔 코어 i5 750 (린필드) 정품 219,000원
☞ mainboard : 이엠텍 ESTAR EXH55B HD 레이튼 109,800원
☞ Memory : EKMEMORY DDR3 2G PC3-10600 CL9 블랙 58,000 x2EA 106000원
☞ VGA PCI-E16x 2.0 : 스파클 지포스 GTS250 슬림한Girl HDMI 512MB LP 139,630원
☞ TFX power :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2 PS2-T350EF 80PLUS 47000원
성능, 가격, 발열, 소비전력 네박자를 고루 맞추는일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걸 100% 소화못하더라도 네박자 모두 맞추려고 합니다.
먼저 공간활용을 위한 선택 그것은 슬림중 가장선호하는 LP형인데
LP형으로 맞추기위해서는 선택폭도 그만큼 제한되기때문에 최고의 성능은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최고의 성능을 맞추기위해서는 그만큼의 가격도 생각보다 크기때문에 저는 이부분은 고려하지 않겠습니다.
i5 661 코어스팩 i5 750 코어스팩
올해 cpu중 2010년으로 손꼽히는 CPU중 32nm 공정으로 등장한 클락테일 이 되겠습니다.
http://blog.danawa.com/prod/?prod_c=993232&cate_c1=861&cate_c2=873&cate_c3=959&cate_c4=0
그중 가장 가격대비성능에 주목되는 i5 661 인데요.
가장 주목되는점은 바로 32nm 공정으로 인한 전력소비가 줄어들었다는점.
풀로드시 183w로 인텔의 기타 cpu들 보다 낮습니다.
전력소비가 줄어들면 그만큼 발열도 많이 줄어듭니다.
게다가 코어안에 900mHz 의 GPU가 들어있어 그래픽출력도 가능하게 됩니다.
하지만, 결국 기존 메인보드 내장그래픽칩성능보단 우위더라도 크게 차이가 않나므로
성능좋은 그래픽카드를 구입해서 사용할것이기때문에 저에겐 쓸기능은 아닙니다. GPU이야기는 제외.
다만, 단점이 있다면 i5 클락테일은 쿼드코어가 아닌 2코어 입니다. 그래서 하이퍼쓰레딩기술(Hyper-Threading)이 들어간 제품이지요.
옛날 팬티엄4의 노스우드시리즈(제가 현재 사용중인코어)가 하이퍼스레딩 기술이 들어가 있습니다만, 성능에 대한 기대를 못미쳐서
유저들 사이에 하이퍼 쓰레기 라고 불리었던 이름이죠. 하지만, 이번엔 그 기술이 재대로 효력을 발휘하나봅니다.
없는 코어와의 성능테스트에서 큰 차이가 나서 다소 긍정적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i5 750 린필드 가 있습니다만,
http://blog.danawa.com/prod/?prod_c=923950&cate_c1=861&cate_c2=873&cate_c3=959&cate_c4=0
분명 이코어는 우선 L3 캐쉬가 크고, 쿼드 코어 이기에 i5 661보단 성능이 우세합니다.
하지만, 제조공정이 45nm이고 설계전력이 95w 이기때문에 로드시 전력소비가 215w가 넘어가므로 전력을 생각하면 효율적이라고 생각지 않습니다. 하이퍼쓰레딩(Hyper-Threading)이란 기술도 빠진 코어입니다만, 가격이 i5 661보다 더 저렴하므로 성능을 더 생각하신다면 i5 750이 좋은선택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메인보드는 이엠텍 ESTAR EXH55B HD 레이튼 109,800원
http://blog.danawa.com/prod/?prod_c=1003091&cate_c1=861&cate_c2=875&cate_c3=968&cate_c4=0
이것을 선택한 이유는 다른거 없습니다. LP형 구조를 겨냥한 Micro-ATX 규격사이즈. 현재가격 109,800원 H55 보드중 가장 싸기때문입니다..ㅡㅡ;
이보드는INTEL H55칩을 박은 i5 시리즈 cpu를 위해서 나온보드이지만, i7 도 지원되기때문에 나쁘지않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슬롯4개라 DDR3 16G 지원입니다.넉넉하죠. 단 규격이 넓어서 슬림한 LP형구조상 조립할때 좀 복잡할거 같습니다;
다음 메모리 EKMEMORY DDR3 2G PC3-10600 CL9 블랙 58,000원 x2EA 106000원
http://blog.danawa.com/prod/?prod_c=792029&cate_c1=861&cate_c2=874&cate_c3=11043&cate_c4=0
역시 가격이 가장 싼이유로 선택했습니다.ㅡㅡ; 가장 판매율과 소비자 관심도가 많은 제품중 하나이기도 하구요.
아직 DDR3 램가격이 높은건 사실입니다만, P55보드와 H55보드가 DDR2 지원이 않되므로 달리 선택할수가 없네요.
DDR3 램속도종류중 PC3-8500 부터 시작해서 PC3-15000 까지 나와있습니다만,
CPU오버클럭 하지 않을거면 PC3-10600 이 적당듯 합니다.
다음 LP형 구조상...... 제한되는 부품중 하나가 그래픽카드입니다.(PCI-E16x 2.0)
현재 LP형중 가장 쓸만한 카드는 2가지입니다.
최근에 나온 스파클 지포스 GTS250 슬림한Girl HDMI 512MB LP 이냐
스파클 지포스 9800GT HDMI 512MB Super LP 가온 이냐
이 둘중 하나인데. 축소제작이라 기존카드보단 둘다 제성능이 나지않습니다만, 최근출시된 지포스 GTS250 이 좋으므로 이걸 선택.
스파클 지포스 GTS250 슬림한Girl HDMI 512MB LP 139,630원 - 최대소비전력 150W
http://blog.danawa.com/prod/?prod_c=992813&cate_c1=861&cate_c2=876&cate_c3=972&cate_c4=0
이렇게 이정도의 사양이 되면 하나 걸리는 부분이 생깁니다.
바로 파워서플라이인데요. 문제는 전력의 대부분을 잡아먹는 CPU와 그래픽카드의 전력이 순간 피크전력일때
지금사용중인 파워서플라이가 과연 감당해 낼수가 있느냐?
이럴땐 자신의 파워 스팩을보셔서 +12V1 , +12V2 를 확인하셔서 각 전류가 몇인지 검토를 하셔야 합니다.
P(전력)= V(전압) X I(전류) 계산을 하셔서 각 CPU와 그래픽카드의 최고전력을 알아내셔서 각 단자마다 최대전력안에 가능하다면
계속 사용할수있는것이 됩니다.
보통 평균적으로 볼땐 정격 350w도 큰 문제없으리라 생각합니다만, 파워서플라이를 굳이 바꿀경우에는
역시 값싼걸로 TFX POWER : Wixx LGP400 TFX 2.2 29,500원
http://blog.danawa.com/prod/?prod_c=682420&cate_c1=861&cate_c2=880&cate_c3=999&cate_c4=0
가장 중요한 설계중하나가 EMI 필터인데 400W 이상 정격출력제품중 이제품만 이회로가 설계되어있네요.
(EMI 필터는 입력라인의 잡음이 파워서플라이 내부 부품 손상을 방지, 외부 기기 보호 하고 가청대역 이상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해 줍니다.)
사실 가장 선택하기가 어려운것이 파워서플라이인데
(정격출력이 왜 중요한지 표기된 출력 전압 전류가 왜중요한지 찾아서 읽어보세요.)
이제품경우 cpu, vga각 단자출력이 12v 출력에 17A 입니다. 그럼 두단자 모두 각, 최고 출력한도값이 204W군요.
결국 이 두단자의 최대출력 204W 안에 i5 661 CPU와 지포스 GTS250 슬림한Girl HDMI 512MB LP 그래픽카드는
안정적으로 전력공급이 가능합니다.
단, cpu i5 750 린필드를 선택시 이 파워서플라이는 사용할수 없습니다. 왜냐면 이코어는 최대순간출력이 215W 가 넘습니다.
그러므로 i5 750 린필드는 값싼 정격 450w 이상이거나(TFX파워는 450W제품이 없네요)
가격이 좀 나가는 제품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2 PS2-T350EF 80PLUS 47000원
http://blog.danawa.com/prod/?prod_c=1000706&cate_c1=861&cate_c2=880&cate_c3=999&cate_c4=0
을 사용해야합니다. 이제품은 정격350W 최고피크치 450W 출력이 가능합니다.
두단자 모두 12V에 22A 324 W이니 충분히 안정적으로 공급이 가능합니다.
이제품이 생각보다 좋게나와서 안정성을 생각하기위해서라도 i5 661사용자도 이제품을 추천하고싶네요.
여튼 견적을 총 계산을해보니 얼추 64만원~65만원정도 네요.
새재품을 구입하는것도 좋지만, 마냥 금액숫자만 보면 어지러우니 CPU와 그래픽카드는 중고로 알아보시면 생각보다 견적금액을
줄이실수있습니다. 제가 평소 많이 써먹는 방법이죠.
저정도 사양이면 바이오하자드5 정도는 풀옵으로도 거뜬하게 돌리고 남을 사양이니 이런사양을 넘보시는것도 좋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개인기록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유니코드 간편프로그램 NTLEA v0.87 Beta. (0) | 2010.02.21 |
---|---|
SmileDownloader Version 1.25 (0) | 2010.02.15 |
[PS3] 프로야구 스피리츠6일판속지를 대채할 이미지들 (0) | 2009.07.18 |
[심심풀이] ヴァンガードプリンセス 1.03.01ver (0) | 2009.07.12 |
[심심풀이] ヴァンガードプリンセス (0) | 2009.07.06 |